📌 한눈에 보는 2025년 본투표 필수 가이드
"아직도 내 투표소를 모르시나요?"
2025년 6월 3일, 단
하루뿐인 본투표가 전국에서
동시에 진행됩니다.
선거 당일,
내 투표소를 모르거나 헷갈리는 일, 한 번쯤 겪어보셨을 겁니다.
특히나 지역별로 투표소 위치가 다르고, 지정된 장소에서만 투표가 가능하기 때문에 미리 확인하지 않으면 소중한 한 표를 놓칠 수도 있어요.
이번 글에서는:
-
📅 본투표 일정과 자격
-
📍 내 투표소 찾는 5가지 방법
-
🆔 모바일 신분증 사용법
-
✅ 투표 전 필수 체크리스트
까지,
필요한 정보만 콕콕 뽑아서
정리해드릴게요.
예시는 김해시 기준으로
설명드리니, 전국 다른 지역 유권자분들도 동일하게 참고하시면 됩니다!
⏰ 본투표 일정 & 투표 가능 조건
-
투표일: 2025년 6월 3일(화)
-
투표 시간: 오전 6시 ~ 오후 8시
-
투표 자격: 선거일 기준 만 18세 이상
👉 2007년 6월 4일 이전 출생자라면 투표 가능합니다.
❗단,
투표 마감 시간은 오후 8시 정각!
줄이 길 수도 있으니
여유롭게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.
🧭 내 투표소 찾는 법, 이렇게 하세요
"투표는 어디서든 가능한 거 아냐?"
NO! 본투표는 반드시
지정된 투표소에서만
진행됩니다.
✅ 내 투표소 확인하는 5가지 방법
-
종이로 받은 투표안내문 확인
-
중앙선관위 홈페이지 → ‘내 투표소 찾기’
-
거주지 지자체 홈페이지 → 공고문 게시
-
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문의
-
스마트폰에서 ‘내 투표소 찾기’ 검색
📞 예: 김해시 선관위 문의 ☎ 055-322-1390
💡 팁: 선거 당일, 헷갈리는 주소나 장소는 네이버 지도 또는 카카오맵으로 확인하세요!
🗺️ (예시) 김해시 투표소 분포도
김해시는 유권자 약 44만 명, 총 114개 투표소가 운영됩니다.
-
김해시 갑 선거구
→ 진영읍, 한림면, 생림면, 상동면, 대동면, 동상동, 회현동, 부원동 등 -
김해시 을 선거구
→ 주촌면, 진례면, 내외동, 장유동 등
💬 대부분의 투표소는 행정복지센터에 위치하지만, 도서관, 복지관, 학교 등 예외도 있으니 반드시 안내문으로 확인하세요.
🆔 모바일 신분증, 이것만 기억하세요!
요즘은 스마트폰으로도 신분증을 보여줄 수 있지만, 모든 형식이 허용되지는 않습니다.
✔️ 투표 시 인정되는 신분증
-
실물 신분증: 주민등록증, 운전면허증, 여권, 공무원증, 자격증, 학생증
-
모바일 신분증: 모바일 주민등록증, 모바일 운전면허증, PASS 앱, 카카오톡 지갑 등
🚫 인정되지 않는 것
-
스크린샷이나 사진 캡처
-
이름, 생년월일, 사진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
👀 주의: 모바일 신분증은 반드시 앱을 직접 실행해 보여줘야 합니다!
⚠️ 투표소 내에서 꼭 지켜야 할 사항
-
📸 기표소 안 촬영 절대 금지
-
🗣️ 투표소 내 소란 금지
-
📝 투표용지는 오직 한 후보에게만
-
❌ 투표용지 훼손 시 재발급 불가
▶️ 위반 시 처벌 가능: 최대 2년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 벌금
✅ Q&A 자주 묻는 질문들
Q1. 투표소에 늦게 가도 괜찮을까요?
A. 오후 8시 전에 도착만 하면 괜찮습니다. 다만 줄이 길 경우 투표가 어려울 수 있어요. 일찍 가세요!
Q2. 모바일 신분증이 안 될까봐 걱정이에요.
A. 앱 실행 상태에서 명확히 보여주면 문제없습니다. 화면 캡처는 불가합니다.
Q3. 타 지역에서도 투표할 수 있나요?
A. 본투표는 지정된 지역 투표소에서만 가능합니다. 사전투표 때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해요!
Q4. 투표 당일 신분증을 못 가져가면?
A. 실물 또는 모바일 신분증이 없으면 투표 불가입니다. 반드시 준비하세요.
Q5. 학생증도 되나요?
A. 사립·국립 관계없이 학생증은 유효합니다. 단, 사진과 생년월일이 있어야 해요.